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Tomcat] Tomcat에 WAR 배포하기

by 오자동K 2022. 5. 12.
반응형
SMALL

WAR 배포 계기

성능 테스트에 대한 주제로 환경을 구성하다보니 로그인 환경에 대해서 여러가지로 시도하다보니
테스트 사이트를 다시 레코딩 해야 하는 작업이 반복되었다.
결국 다시 테스트 WAR를 Tomcat에 배포해야 하는 상황이 되어서 WAR 배포 과정을 간략히 정리하고자 한다.

Tomcat 폴더 구조

Tomcat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

필자의 경우는 Tomcat tar 파일을 받아서 Tomcat 계정을 만들고 그곳의 home 디렉토리에 넣어주었다.
그리고 압축을 풀면 폴더가 하나 생겨난다.
물론 Tomcat WAS 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Tomcat 계정으로 관리를 해주는 것이 좋다.

WAR 파일의 위치

이렇게 한단계 들어가주게 되면 여러가지 폴더와 파일들이 있는데
이중에서 우리는 배포에 대해서 신경을 쓰기 때문에 webapps 폴더에 주목해주도록 한다.
간단히 말하면 webapps 폴더 위치에 WAR 파일이 위치하면 된다.

현재 sample 파일의 이름이 jpetstore.war 인 것을 예시로 들어서 설명하고 있지만 war 파일에 대한 설정을 해주지 않은채로 배포를 하고싶다면 해당 war 파일의 이름을 ROOT.war 파일로 변경해서 하면 된다.
그러면 Tomcat 은 실행할 때 ROOT 경로를 만들어서 그곳에 해당 war 를 셋팅하고 서비스를 띄우게 된다.
여기서는 jpetstore.war 으로 복사를 해주었고 이상태로 진행을 해보겠다.

WAR 파일의 인식은?

디폴트가 ROOT.war 파일로 해야 인식을 했다면 다른 이름의 war 파일을 Tomcat 이 인식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그 방법은 Tomcat 루트 경로에서 conf 폴더의 server.xml 로 접근하여 추가로 경로와 파일 셋팅을 해주어야 한다.

 

cd [Tomcat root]/conf/server.xml
vi server.xml

server.xml 로 들어가게되면 여러가지 셋팅이 보이게 된다.
여기서 Host 태그 안쪽에 셋팅을 해주어야 하는데 여러줄이라서 Host 태그를 바로 찾기 어렵다.
그때는 /Host 라고 치면 하이라이트가 되면서 해당 이름을 다 찾아준다. 
그러면 n 을 연타하면서 태그를 찾아주도록 한다.
putty 마다 키나 UI 성질이 다르다. 위 UI 는 movaXterm 프로그램으로 하고 있다.

아무튼 들어가서 Host 태그를 찾아주고 아래 Context 태그를 삽입해주도록 한다.

<Context path="/home/tomcat6adm/apache-tomcat-8.5.61/webapps" docBase="jpetstore.war"  reloadable="false" > </Context>
#<Context path="[경로]" docBase="[파일이름]"  reloadable="false" > </Context>

 

이렇게 해주면 Tomcat 입장에서 해당 경로의 WAR 파일을 인식할 수 있게된다.

Tomcat 실행 및 확인

셋팅을 마쳤으면 Tomcat 을 실행해주자

cd [tomcat root]/bin
./startup.sh

해당 tomcat 을 설치한 vm 또는 localhost 의 네트워크가 접속 가능한 상태라면 서비스 화면을 볼 수 있다.

포트는 기본 8080 포트이므로 WAS 의 IP 와 8080 포트로 입력을 해주면 된다.
물론 경로는 webapps 에 보면 jpetstore 로 폴더가 생성되어 있을것이다.

이것으로 Tomcat 에 WAR 파일 배포를 완료했다.

반응형
LIST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Bonding 방법  (0) 2022.11.03
apache WEB WAS 연결하기  (0) 2022.06.28
CentOS7에서 Node.js 설치하기  (0) 2022.06.17
JAVA 환경변수 셋팅하기(윈도우, 리눅스)  (0) 2022.05.04
[리눅스] 심볼릭링크 만들기  (0) 2022.01.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