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능테스트

[성능테스트] Jmeter Authorizations Manager

by 오자동K 2022. 5. 10.
반응형
SMALL

보통 로그인 방식

로그인을 할 때 보통은 ID 와 Password 를 사용해서 로그인을 한다.
그리고 그 로그인은 index 페이지에 존재하거나 별도의 페이지로 넘어가서 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우리가 알고있는 로그인 입력창

윈도우 인증 로그인

보통의 포털 사이트들은 다수의 접근이 있기 때문에 이렇게 ID 비밀번호로 운영을 하지만 특정 회사의 경우에는 윈도우 인증을 통해서 로그인을 해주는 방식을 사용하는 곳이 있다. 많지는 않지만 종종 있다.

성능 테스트를 할 때 로그인은 매우 중요하다. 
보통 거의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항목에 포함이 되는 편이기도 하고, 그 로그인이 있어야 다음 세션을 이어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로그인을 하는 경우 f12 개발자도구를 통해서 보게되면 세션 아이디나 GUID 등의 특정 아이디가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다음 업무를 클릭해보면 개발자도구에서 그 아이디가 계속해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크롬에서 로그인을 할 때 이런 식으로 뜨고 로그인을 해주어야 로그인이 된다.
이런 사이트의 경우는 로그인 창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팝업 형태로 존재한다.

aa

Jmeter 에서 thread group를 우클릭해서 보면 add > Config Element > HTTP Authorization Manager 를 클릭하면 해당 로그인을 사용 할 수 있다.

윈도우즈 인증 로그인을 사용하는 사이트의 경우 URL 과 username, password 를 적어주도록 한다.
도메인이 있는 경우 도메인도 적어준다. 
보통 도메인의 경우는 로그인 할 때 domain\ID 이런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domain 을 적절히 넣어주도록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이 Mechnism 인데 아마도 Jmeter 에서 레코딩을 하게 되면 KERBROS 방식으로 레코딩이 될 것이다.
설명을 살짝 읽어보면 KERBROS 는 세개의 머리를 가진 개를 의미하는데 아마도 인증할 때 세가지 방식을 시도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이 방식으로 레코딩이 되었더라도 BASIC 으로 선택을 하고 스크립트를 작성해야 동작했었다.
어떤 경우에는 KERBROS 방식이 될지도 모르니 만약 아이디/비번이 모두 정확했다면 옵션을 변경하면서 시도해보자

인증이 성공했다면 다음 세션 유지하는 경우에 로그인 정보를 이어서 사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