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 를 사용한 접근
SSH 연결 도구인 MovaXterm 에서 주로 ssh 연결을 사용해왔다.
보통은 지금 사용하고 있는 PC 또는 노트북에 VM 을 하나 생성하고 바로 ssh 를 사용해 IP 와 port (22) 를 입력하여 사용한다.
이번에는 내 PC 가 아닌 회사(외부)의 IP 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려 한다.
그냥 회사의 외부IP 로 접속하는 것은 간단하다.
여기서 하나 알고가야 하는 점은 우리가 외부에 있는 곳에 접근하려고 할 때는 목표로 하고 있는 곳의 외부 IP 를 알아야 한다. 다시 말해서 gateway 의 IP 를 알아야 한다.
아래 그림에서 보면 내 노트북에서 회사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gateway 를 통과해야 접근할 수 있다.
그래서 gateway IP를 알면 회사 PC에는 일단 접근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공유기를 사용하는데 그 공유기가 GateWay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여기서는 회사 PC 안에 여러개의 VM을 설치한 경우 그 VM 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MovaXterm 의 ssh gateway 기능
우리는 보통 ssh 연결 도구에서 바로 접속을 하고 싶어한다.
지금 접근하고자 하는 예시는 node js 라고 만들어놓은 회사 PC1의 VM1 이다.
VM에 바로 접근을 하려고 하면 접속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추가로 셋팅을 하나 해주어야 한다.
우선 본인의 경우는 회사 PC 의 pem 파일을 하나 생성해둔 상태이다.
이 부분은 똑같이 session 추가를 해서 만들어주면 된다.
remote host 에는 PC1의 VM1의 IP를 입력해주면 된다.
여기서 추가로 셋팅할 부분으로는 gateway를 통과해주도록 하는 것이다.
SSH gateway 셋팅이라고 있다. 이것을 눌러보자
그러면 Gateway 입력란이 보이는데, gateway 의 IP 를 입력해주면 된다.
port 의 경우도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에서 지정한 포트를 입력해주면 된다.
본인은 PC에 ssh key (pem) 파일을 생성해두었기 때문에 key에 파일을 입력해주었다.
이제 모든 셋팅이 끝났고 ssh 에 바로 접근해서 사용하면 된다.
만약에 위 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용하고 싶다면 gateway IP 와 port 로 session을 구성한다음 PC1 로 접속을 해주도록 하자. 그다음에 ssh root@[IP] 이렇게 접근하려고 하면 접속이 가능하다.
하지만 매번 이렇게 PC 에 접속한다음 그안의 VM에 다시 접속하려고 두번씩 작업을 해야한다면 번거로울 것이다.
한번 셋팅만 잘 해놓으면 접근도 쉽고 관리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컴퓨터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에 승인받기 (0) | 2022.11.30 |
---|---|
Docker로 서비스 실행해보기 (0) | 2022.07.27 |
네트워크 스위치, 허브, 라우터 차이점 (0) | 2022.04.15 |
OSI 7 Layer 개념 알아보기 (0) | 2022.04.07 |
댓글